728x90
반응형
**Macular hole(황반 원공, 황반 구멍)**은 눈의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의 가장 중심부인 **황반(macula)**에 작은 구멍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 황반은 망막 중에서도 정밀한 시력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위로, 이곳에 구멍이 생기면 시력 저하와 중심 시야의 왜곡이 발생합니다.
📍 원인
macular hole은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합니다:
- 노화 (가장 흔한 원인)
- 유리체(눈 속의 젤리 같은 물질)가 나이가 들면서 수축하거나 망막에서 떨어질 때 황반을 당겨 구멍을 만들 수 있습니다.
- 외상
- 눈에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 황반에 손상이 생길 수 있음
- 고도근시
- 안구가 길어지면서 망막이 얇아지고 황반 부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
- 당뇨망막병증이나 망막박리 후
- 다른 망막 질환이나 수술 후 발생 가능
⚠️ 증상
- 중심 시야가 흐리거나 어두워짐
- 직선이 휘어 보이는 변시증
- 중심 부분에 검은 점이나 빈 공간이 생김
- 시야의 가장자리는 비교적 보존되는 경우가 많음
👁️ 진단
- 안저 검사
- 광간섭단층촬영 (OCT): 황반 부위를 고해상도로 촬영하여 구멍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음
🏥 치료
- 유리체절제술 (Pars plana vitrectomy)
가장 일반적인 치료 방법입니다.- 유리체를 제거하고, 황반을 당기던 견인을 없앤 후
- 눈 안에 가스나 실리콘 오일을 주입하여 망막을 눌러 구멍을 닫게 유도
- 수술 후 **엎드린 자세(face-down positioning)**를 일정 기간 유지해야 할 수 있음
- **초기 단계의 작은 구멍(stage 1)**에서는 경과 관찰만 하기도 함
📊 예후
- 조기에 치료하면 상당수 환자에서 시력 회복이 가능하지만,
구멍이 커지고 오래된 경우 시력 회복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.
728x90
반응형
'간호사이야기 > 간호사의 질병파악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눈앞에 날파리? 비문증 증상과 치료법 총정리” (0) | 2025.05.06 |
---|---|
<망막전막, Epiretinal Membrane, ERM> (0) | 2025.05.06 |
<망막박리, Retinal Detachment> (0) | 2025.05.06 |
<요로감염증(UTI, Urinary Tract Infection)> (6) | 2023.11.25 |
<고혈압> (3) | 2023.10.3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