💡 대장암 환자의 저위 전방 절제술(LAR), 꼭 알아야 할 것들
안녕하세요, 간호사 여니입니다🙂
오늘은 **직장암(특히 중하부 직장암)**에서 흔히 시행되는 **저위 전방 절제술(LAR)**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.
많은 환자분들이 수술명을 듣고는 어렵고 생소하게 느끼시는데요,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술의 개념부터 회복과정, 그리고 간호 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.
🧬 저위 전방 절제술(LAR)이란?
**LAR(Low Anterior Resection)**는
**직장암이 항문과 가까운 쪽(중하부 직장)**에 생겼을 때
암 부위를 포함한 직장 일부를 절제하고, 남은 장을 다시 이어주는 수술입니다.
👉 간단히 말해:
직장암을 잘라내고, 가능하면 항문을 보존하는 수술이에요.
🏥 수술 과정 요약
- 암이 있는 부위 절제
- 종양이 있는 직장 부위를 포함해 주변 림프절도 함께 절제합니다.
- 장 연결(문합, anastomosis)
- 남은 결장과 항문 가까이 남은 직장을 이어줍니다.
- 보조 장루(temporary stoma) 설치 가능
- 회복을 돕기 위해 일시적으로 **회장루(ileostomy)**를 만들기도 합니다.
- 이건 나중에 장이 잘 붙으면 폐쇄합니다.
💬 LAR 수술 후 자주 듣는 질문
❓ 항문 기능은 유지되나요?
가능한 한 항문을 보존하는 수술이기 때문에
대부분 배변 기능을 유지할 수 있지만,
초기엔 배변 조절이 어렵거나 자주 마려운 증상이 있을 수 있어요.
이를 **LARS(저위 전방 절제증후군)**라고 합니다.
❓ 장루는 평생 가져가야 하나요?
아니요.
보조 장루는 일시적인 경우가 많고,
대개 2~3개월 후 복원 수술을 통해 다시 장을 연결해요.
(단, 합병증이 없고 장 상태가 좋아야 가능)
👩⚕️ 간호사의 LAR 수술 후 관리 포인트
🛏️ 1. 조기 보행
- 수술 다음 날부터 가능한 한 빨리 걷기 시작합니다.
- 장운동 회복, 폐렴·혈전 예방에 매우 중요해요.
🧻 2. 배변 양상 관찰
- 수술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배변이 없거나 느릴 수 있어요.
- 이후에는 설사, 급박뇨, 밤에 배변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고 이는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아요.
💧 3. 수분·영양 보충
- 배변 횟수가 늘면 탈수될 수 있어요.
-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, 고단백·저잔사 식이를 권장합니다.
🩹 4. 장루 관리 (있는 경우)
- 장루 주변 피부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장루판 교체 및 피부 보호에 신경 써야 해요.
- 환자·보호자 교육도 필수입니다.
🧠 회복과 일상으로의 복귀
- 수술 후 1~2주 내 퇴원, 장루가 있다면 장루관리 교육 후 퇴원합니다.
- 6개월~1년 내 장루 복원 수술(Reverse surgery) 가능
- 항암치료 병행 여부는 병기나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.
- 대부분 3~6개월 후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합니다.
🧡 마무리하며
LAR 수술은 항문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암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수술입니다.
다만 초기엔 불편함이 따를 수 있기 때문에
간호사로서 환자분의 신체적·정서적 회복을 돕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.
혹시 가족이나 지인이 이 수술을 앞두고 있다면
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🌿
#대장암 #저위전방절제술 #LAR수술 #장루간호 #외과간호 #배변관리 #수술후회복 #암환자간호 #항문보존수술 #조기보행 #LARS증후군 #장루생활 #대장암수술후기 #수술간호 #암환자식이 #저잔사식이 #수술정보 #보조장루 #간호사블로그 #환자교육 #장루수술 #대장암치료 #직장암수술 #항암치료 #병원간호 #간호정보 #간호팁 #병동간호 #회복과정 #암환자지원
'간호사의 수술 파헤치기 > 성인수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체 갑상선 절제술(Total Thyroidectomy) 완벽 정리|수술 과정·후유증·회복까지 (0) | 2025.07.20 |
---|---|
경요도전립선절제술 완벽정리: 시술부터 회복까지 (2) | 2025.07.14 |
방광 종양 절제술(TURB), 시술부터 회복까지 한눈에! (0) | 2025.07.14 |
PPPD 수술이란? 유문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 완전 정리 (0) | 2025.07.1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