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320x100

간호사이야기/간호사 공부18

"수술 후 배액관 종류와 배액양상 변화, 꼭 알아두세요!" 외과환자들이 많이 오는 병동에서 일을 하면 배액양상이 제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. 보통 수술을 하고 나오면, 배액관을 가지고 나온다. Hemovac(=barovac) 배액관: Hemovac 배액관은 수술 부위에서 체액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휴대용 음압 배액장치입니다. 이 배액관은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출혈이나 부종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 2. Jackson-Pratt (JP) 배액관: JP 배액관은 수술 후 체액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또 다른 종류의 배액관입니다. 이 배액관은 작은 고무 튜브와 함께 제공되며, 이 튜브는 수술 부위에서 체액을 배출하는 데 사용됩니다. 보통 임상에서는 둘다 barovac, hemovac 이라고 쉽게 불리우는 것 같은데, 수술 후 hemovac과 J-P d.. 2025. 7. 12.
📌 Chest AP와 Chest PA, 절대 헷갈리지 말자! 임상에서는 자주 Chest AP, Chest PA라는 처방을 접하게 됩니다. 두 방법의 차이를 명확하게 알아두면 실제 현장에서 헷갈리지 않고 정확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!🔍 Chest AP vs Chest PA 차이점📍 Chest AP (Anterior-Posterior)앞에서 뒤로 촬영 (환자 앞쪽에 X-선 발생장치 위치)환자가 움직이기 어려운 응급상황이나 중증 환자 촬영 시 사용주로 portable X-ray 기기를 활용하여 병상에서 촬영 가능폐나 심장의 그림자가 실제보다 크게 나와 정확한 판독에 제한적📍 Chest PA (Posterior-Anterior)뒤에서 앞으로 촬영 (환자 뒤쪽에 X-선 발생장치 위치)환자는 X-레이 판에 가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.. 2025. 7. 12.
<TEE 와 TTE> 임상에서 일하다보면 TEE, TTE 처방이 나곤 하는데 아직도 처방이 나면 종종헷갈리곤 한다. 처음에 정확히 기억을 해야 된다는 점!!! TEE부터 설명을 드리면, 1. TEE란?-> 식도를 통해서 심장을 검사 하는 방법 TEE(T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또는 Transesophageal Echo)는 심장의 상태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진단적인 절차 중 하나입니다. 일반적인 초음파 검사(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, TTE)와는 달리, TEE는 식도를 통해 초음파 센서를 심장에 가까이 배치하여 더 자세하고 정확한 이미지를 제공합니다. TEE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수행될 수 있습니다: 심장 이상의 진단: 심장 및 대동맥, 심방 이상, 판.. 2024. 1. 8.
<PCD,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/ 경피적 카테터 배액술> 1. PCD란? "PCD"는 "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"로 "경피적 카테터 배액술"이라고 불립니다. 이는 의학에서 사용되는 치료적인 절차 중 하나로,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비강, 간, 췌장, 대장, 신장 등의 공간이나 구획에서 비정상적인 액체나 기체를 배액하거나 채취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. 일반적으로 PCD는 환자의 특정 상태나 질병으로 인해 특정 부위에 비정상적인 액체가 축적되었을 때 적용됩니다. 이러한 상황에서 PCD를 통해 카테터(튜브)를 경피(피부를 통해)로 삽입하여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액체를 배액하거나 채취하여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. 2. PCD의 적응증 "PCD(경피적 카테터 배액술)"의 적응증은 특정 부위에서 비정상적으로 액체가 축적.. 2023. 11. 30.
728x90
300x25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