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ICC란?
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"의 약어로, 말초(외주)부터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한 정맥(중심정맥)으로 연결되는 카테터를 가리킵니다.
PICC는 보통 팔의 말초 정맥에 삽입됩니다. 그러나 이 삽입점은 심장에 인접한 정맥으로 이어지는 중심 정맥에 연결됩니다. 이러한 설계는 카테터가 중심 정맥에 도달하여 혈액의 빠른 흐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약물 투여 및 혈액 채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
PICC는 일반적으로 수술실이나 병동에서 집중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됩니다. 이 장비는 중심 정맥에 직접 삽입되는 것보다 치료 과정이 비교적 적은 위험과 불편함을 유발하므로 많은 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권장됩니다.
▶PICC의 장점
- 안전성: PICC는 중심 정맥에 직접 삽입되는 것보다 안전합니다. 일반적으로 말초 정맥에 삽입되기 때문에 심장이나 주변 혈관에 직접적인 접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
- 치료 편의성: PICC는 수액, 약물, 혈액 및 영양제 등을 투여하거나 혈액을 채취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. 한 번 삽입된 후에는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어 환자들에게 편리합니다.
- 적응성: PICC는 다양한 환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항암 요법을 받는 환자나 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환자, 신장 투석이 필요한 환자 등에게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.
- 비교적 적은 합병증 발생률: 다른 중심 정맥 카테터와 비교했을 때, PICC의 합병증 발생률이 낮을 수 있습니다. 이는 삽입 과정이 상대적으로 쉽고, 치료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적은 합병증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.
- 이동성: 필요에 따라 환자가 집에서 치료를 받는 경우, PICC는 집에 가지고 가서 일상 생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임상 tip:
=PICC는 환자의 팔(upper arm 또는 forearm)에 삽입되어 삽입 한 곳에 혈관을 보호하기 위해 ★arm save★를 합니다.
=또한 드레싱은 필름(=테가덤)은 일주일, 거즈는 이틀에 한번 드레싱을 챙겨줍니다.
=채혈시에는 보통은 컨펌을 받고 진행하며(병원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, 저희는 보통 lab 컨펌 후 시행합니다), 10cc정도 사혈 후 채혈합니다.
=쓰지 않는 가지(lumen)은 듀티당 생리식염수로 flushing 해주고, 일주일마다 막히지 않도록 헤파린을 투여하는 병원이 있습니다. (저희병원은 막히지 않고서는 헤파린 flushing 안챙깁니다)
TIPS!
=임상에서 정말로 혈관이 없거나, 주사를 자주 바꿔야하고 오래계실 환자분이시면, 담당의사에게 PICC가 필요해 보일 것 같다고 종종 먼저 recommend를 하게 됩니다. 이제 담당 의사가 필요성을 느껴 영상의학과 협진을 주면, 영상의학과에서 PICC 삽입을 하게 됩니다. ;)
#PICC #중심정맥카테터 #말초삽입중심정맥카테터 #PICC라인 #PICC관리 #혈관접근 #장기정맥라인 #간호정보 #임상간호 #중심정맥 #간호팁 #드레싱관리 #카테터간호 #flushing #armSave #혈관관리 #환자간호 #간호사일상 #병동간호사 #수액관리
#채혈팁 #중심정맥관리 #의료정보 #전문간호 #간호학과 #티스토리블로그 #의료블로그 #의학상식 #임상팁 #PICC드레싱
'간호사이야기 > 간호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멜레나(Melena) 흑색변의 원인과 간호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7.20 |
---|---|
Chemoport(케모포트)란? 항암치료의 든든한 혈관 친구 (34) | 2025.07.13 |
"혈액투석 접근 방법 정리: Perm Cath, AVF, AVG 한눈에 이해하기" (14) | 2025.07.12 |
"수술 후 배액관 종류와 배액양상 변화, 꼭 알아두세요!" (45) | 2025.07.12 |
📌 Chest AP와 Chest PA, 절대 헷갈리지 말자! (2) | 2025.07.12 |
댓글